목록JSP (11)
개발자 성장일지

1. 로그로그 로그(log)는 과거 선박 항해일지를 통나무에 기록한 것이 유례 되어서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발생하는 모든 행위와 이벤트 정보 등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록한 데이터 로깅(logging)의 목적은 시스템 문제 발생시, 원인 분석과 유지보수에 활용 4차 산업혁명 시대 각 개인은 라이프 로그(Life log)를 생성 2. 목적로그 애플리케이션의 문제 발생시, 원인 분석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함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분석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 대한 분석 및 통계 로그를 통해 프로그램을 디버그 하고 문제의 원인을 파악 시스템 및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에 활용하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유지보수에 활용 3. 라이브러리 Java log JDK에 내장된 기본 로그 라이브러리로 추가 라이..

1. MVC 아키텍처 MVC 아키텍처(모델2)는 Model – View – Controller 구조로 이루어진 웹 애플리케이션 MVC 패턴으로 화면(View)과 데이터 처리(Model)를 분리하여 코드 간 종속성을 줄임 각 컴포넌트간 역할을 명확하게 하여 협업과 유지 보수에 용이 2. MVC 컴포넌트 컨트롤러(Controller) MVC 패턴의 핵심으로 모든 사용자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서블릿 구현모델 실행 후 View forward 모델(Model)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포넌트,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Service 클래스와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위한 DAO(Data Access Object) 클래스로 구성각 컴포넌트간 VO(Value Object, 엔티티 클래스) 클래스 전..

1. 서블릿 서블릿(Servlet)은 자바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 기술 JSP는 서블릿 기반의 웹 프로그래밍 기술로 내부적으로 JSP는 서블릿으로 변환 되어 실행 됨 서블릿은 HTML 응답 처리가 불편하기 때문에 MVC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컨트롤러로 활용 2. 서블릿 생명주기 서블릿은 서블릿 컨테이너(WAS)에서 생성(init)되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doGet(), doPost() 를 호출하는 생명 주기를 갖음 3. 필터 필터(Filter)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특수한 형태의 서블릿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서블릿이나 JSP가 실행되기 전에 response 혹은 request 객체의 조작이나 추가적인 처리에 사용 필터는 인증(Authentication)..

1. 표현 언어 표현 언어(Expression Language)는 JSTL(JSP Standard Tag Library)과 같이 개발된, MVC 패턴에 따라 뷰 역할을 수행하는 JSP를 더욱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법 page, request, application, session 내장 객체를 사용해 표현 언어에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준비 되어야 표현언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출력 2. JSTL JSTL(JSP Standard Tag Library)은 커스텀 태그 라이브러리 기술을 이용해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표준화한 것으로 크게 core, xml, i18n, sql, functions 라이브러리로 구성 taglib 지시자를 이용하여 JSTL 라이브러리를 선언해서 JSTL 태그 사용 ..

1.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여러 사람이 공유할 목적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한 데이터 집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오라클, MS SQL 서버, MySQL 등 2. 테이블 테이블(Table)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하나의 테이블이 아닌 여러 개의 테이블로 나누어서 저장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데이터 저장의 효율성을 보장 3. SQ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쿼리 언어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상관 없이 모든 데이터베이스는 S..

1. 쿠키 쿠키(Cookie)는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로 클라이언트에 서버에서 생성한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조각파일 쿠키는 세션과 달리 상태 정보를 웹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에 저장 웹 사이트에 관한 정보와 개인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보안에 문제가 있음 2. 세션 세션(Session)은 최초 요청부터 최종 요청까지의 시간의 경과 웹 프로그래밍에서 세션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 세션은 웹 컨테이너의 객체로 웹 브라우저마다 하나씩 생성하므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식별 값으로 활용 3. 쿠키와 세션 차이 쿠키와 세션은 비슷한 역할을 하며, 동작 원리도 비슷함 그 이유는 세션도 결국 쿠키를 이용 쿠키는 Cli..

1. 액션태그 액션태그(Action Tag)는 JSP 페이지에서 태그 형태로 구현된 기능 액션태그는 페이지 흐름 제어 태그와 자바빈 관련 태그로 나뉨 2. forward 액션태그 현재 JSP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태그 pageContext의 forward 기능과 동일 Redirect와 유사하지만 내부적으로 동작방식 차이 3. include 액션태그 외부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거나 페이지 모듈화에 사용하는 태그 include 지시자와 동일하지만 처리과정에서 차이 4. useBean 액션태그 JSP에서 자바 빈 객체를 생성하거나 참조하기 위한 액션 자바빈(JavaBean)은 특정한 일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컴포넌트를 의미 자바빈은 단순한 POJO 모델로 getter, setter를 통해 속성 참..

1. 내장객체 내장객체(Implicit Object)는 JSP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객체 JSP 페이지 내에서 선언 없이 사용하는 객체 2. request 객체 request는 사용자 요청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객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 GET 데이터 전송 방식 3. response 객체 response는 request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자 응답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 사용자 요청(request)을 처리하고 응답을 다른 페이지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 4. out 객체 out은 출력 스트림으로써, 사용자 웹 브라우저로 출력하기 위한 내장객체 Scriptlet에서 브라우저로 텍스트를 출력하는 데 사용 5. pageContext 객체 pageContext 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