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5)
개발자 성장일지

1. SSH 서버 SSH는 Secure Shell로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 SSH는 전통적인 텔넷 접속에서 보안을 강화한 접속 프로토콜로 OpenSSH 설치 CentOS 은 기본적으로 OpenSSH 설치됨 SSH 접속 클라이언트 Putty를 사용해서 원격지 SSH 서버 접속 putty 다운로드 더보기 2. 웹서버 Apache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Web) 서버 APM(Apache, PHP, MySQL)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서버 구축 패키지 3. FTP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서버 - 클라이언트 파일 전송 프로토콜 CentOS는 기본적으로 sftp가 설치됨 FTP 접속 클라이언트 FileZilla를 이용해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수행 4. ..

1. 쉘(Shell) 쉘(Shell)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Kernel로 전달하는 명령어 해석기 CentOS는 배시쉘(bash Shell)을 사용, 쉘 스크립트는 쉘 환경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쉘은 명령어 해석기능, 프로그래밍 기능,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 2. 셸 환경변수 환경변수(env)는 운영체제(셸)가 전역으로 참조하는 시스템 변수 쉘 환경변수는 현재 사용하는 셸의 실행파일에 대한 위치를 저장하는 변수 Linux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환경변수 이해 3. 셸 환경설정 파일 셸 설정파일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을 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파일 셸 설정파일은 시스템 전체의 초기화를 위한 파일과 개인 유저 환경을 위한 초기화 파일 존재 설정파일 수정 후 source 명령어로 현재 ..

1. 사용자와 그룹 Linux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여러 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 Linux는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유저가 있으며 최고 관리자 모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 ※ 추가 더보기 vi /etc/passwd vi /etc/group 2. 파일과 디렉터리의 속성과 유형 리눅스는 각각의 파일과 디렉터리마다 소유권과 허가권이 있음 파일유형은 디렉터리는 d, 파일은 -, 링크는 l 표시 3. 파일 허가권과 소유권 ‘rw-’, ‘r--’, ‘r--’ 3개씩 끊어서 구분 8진수 숫자로도 표시 가능하며 아래 표 확인 디렉터리는 일반적으로 소유자/그룹/기타사용자 모두에게 실행권한이 설정 파일 소유권은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 표준 chmod 755 파일이름.txt ※ 추가 명령..

1.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형식 사용자의 명령입력을 기다리는 표시로 일반 관리자는 $, 시스템 관리자는 # 표시 리눅스 명령어는 [명령] [옵션] [인자] 형식, 각 사이는 여러 칸 띄어쓰기 가능 명령어의 일부만 입력한 후에 Tab키를 눌러 나머지 명령어를 자동완성 예시)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를 입력하려면 cd /et[Tab키]sysco[Tab키]net[Tab키] 자동 완성은 빠른 입력효과도 있지만 오타없이 정확하게 입력하기 위해 반드시 활용 숙지 도스키(Dos key)는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상/하 화살표 키를 이용해 다시 입력하는 기능 2.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반드시 숙지 3. vi 에디터 윈도우즈의 메모장처럼 간단한 편..

1. 리눅스 개요 1991년 8월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리눅스 커널 0.01 버전을 개발 리눅스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음 유닉스와 완벽한 호환성을 유지하며, 서버용 OS와 마이크로 OS로 많이 사용 2. 리눅스 구조 커널(Kernel)은 HW 장치의 지원정보 및 HW를 제어하는 코드 등이 포함된 리눅스의 핵심 쉘(Shell)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는 명령어 해석기 응용 프로그램은 리눅스 운영체제를 운영관리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3. 리눅스 배포판 여러 단체 및 기업에서 커널에 셸, 응용프로그램들이 통합된 배포판을 제작 리눅스 크게 Redhat 계열, Debian 계열, Slackware 계열로 나뉨 가장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Ubuntu, ..